전체 글273 미국 영주권 신청한 전문직 H-1B 비자 소지자의 배우자 노동허가(EAD) 신청 허용 미국 영주권을 신청한 전문직 H-1B 비자 소지자의 배우자가 일할 수 있도록 하는 국토 안보부의 규정에 연방 법원 판사가 손을 들어줬다. 참고로 미국은 2015년 오바마 행정부 관리들은 글로벌 인재 경쟁의 필요성을 언급하며, 영주권을 신청한 전문직 H-1B 비자 소지자의 배우자가 미국에서 일할 수 있도록 하는 규정을 발표했다. 즉, 규정상 전문직 H-1B 비자 소지자가 고용 기반 영주권 취득의 핵심 단계인 청원서(I-140) 승인을 받으면 H-4 부양가족 지위에 있는 배우자는 노동허가(EAD)를 신청할 수 있었다. 하지만 반이민 정책을 내세우던 트럼프 행정부가 들어서면서 이러한 규정의 무효화 소송이 이어졌다. 이에 경제학자 매들린 자보 티니는 2022년 전미 정책 재단(NFAP) 분석에서..., .. 2023. 12. 20. 2022 회계연도 한국인의 미국 방문 비자 거부율은 17.38%. 미 국무부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22 회계연도에 한국인의 미국 방문 비자인 B 비자의 거부율은 17.38%라고 한다. 2021 회계연도에도 18.03%로 연이어 약 18%대의 높은 거부율을 보이고 있다. 이쯤 되면 혹시나 현재 시행되고 있는 미국 무비자 입국에 제동이 걸리지 않을까 걱정이 된다. 물론 비자 면제국 지위를 박탈하는 것은 단순히 방문 비자 거부율로 결정되는 것은 아니다. 비자 면제국 국민의 미국 입국 후 오버 스테이 비율 등 여러 요소들을 복합적으로 검토하여 비자 면제국 지위를 박탈한다고 한다. 과거 2014 회계 연도에는 방문 비자 거부율이 21.2%까지 다다른 적이 있었지만, 오버 스테이 하는 한국인들이 크게 줄어들어서 비자 면제국 지위를 유지한 적도 있다. 물론 무 비자로 미국에 .. 2023. 12. 20. 미국 투자이민(EB5)의 장점과 단점 미국 투자이민(EB5)은 미국 취업이민 카테고리 5순위에 속한다. 하지만 미국 투자이민(EB5)이 왜 미국 취업이민 카테고리에 속하는지에 대한 설명은 없다. 현재 미국 투자이민(EB5)은 2027년 9월 30일까지 한시적으로 운영되는데..., 아직 영구적인 프로그램이 아니라서 별도의 카테고리를 만들지 않는 것일까? 아니면 투자이민의 성사 조건 중의 하나가 10명의 '고용 창출' 한다는 조건 때문에 취업이민 카테고리에 묶어 놓은 것인지... 일단은 이유는 모르지만 미국 투자이민(EB5)은 취업이민 카테고리 5순위에 해당한다. 그렇다면 이러한 미국 투자이민(EB5)의 장단점은 무엇일까? 흔히 미국 영주권자가 갖는 특권은 미국 투자이민(EB5)의 장점에 포함된다. 예를 들면 안정적으로 미국 내에 체류할 수 있.. 2023. 12. 19. 미국 취업이민 3순위 (EB3) - 전문직, 숙련 직, 비숙련 직 미국 취업이민 3순위는 전문직 종사자, 숙련 직, 비숙련 직 이렇게 3가지 카테고리로 나누어진다. 전 세계에 연간 대략 4만 명의 쿼터가 정해지는 취업이민 3순위는 항시 신청자가 많기 때문에 수속 기간 및 대기 기간이 취업이민 1,2순위보다 평균적으로 오래 걸린다. 일반적으로 전문직 종사자와 숙련 직에게 연간 약 3만 명 정도의 쿼터가 할당되고 비숙련 직에게는 약 1만 명 정도의 쿼터가 할당된다. 그리고 비숙련 직 쿼터 중1 만 명의 반에 해당하는 5천 명은 중남미 국가 사람들에게 할당된다. 이렇듯 비숙련 직의 경우 중국, 인도, 베트남 등 신청자가 많은 아시아권도 5천 명의 쿼터에 해당되기 때문에 대기 기간이 길어질 수밖에 없다. 1. 전문직 종사자(Professionals) IT 관련 종사자, 금융,.. 2023. 12. 19. 캐나다 연간 50만 명의 이민자 수용 계획 발표. 캐나디안들 중에는 이민자 유입에 찬성하는 사람들도 있고 반대하는 사람들도 있다. 우선 찬성하는 사람들의 입장은 캐나다도 고령화사회에 접어들면서 저출산으로 인하여 노동력 부족이 심각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더군다나 고령화사회에 꼭 필요한 의료 관련 종사자들이 급격히 줄어들고 있다. 최근 캐나다 이민성이 2024년, 2025년, 2026년 이민 포용 계획을 발표했다. 캐나다 이민성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24년에는 48만 명, 2025년과 2026년에는 매년 50만 명의 새로운 이민자들을 받아들이겠다고 한다. 우선 캐나다 이민성이 발표한 이민 대상 분류 계획을 보면..., 2024년에 캐나다는 경제 이민 클래스에서 연간 281,135명의 이민자들을 받아들이고, 이후 2026년에는 연간 301,250명의 이.. 2023. 12. 19. 미국 연방정부에서 투자원금 보장을 하지 않는 미국 투자이민 EB5 미국 투자이민 EB5는 절대로 미국 연방정부에서 외국인이 투자한 투자금을 보장하지 않는다. 말 그대로 아메리칸 스타일이다. 쿨~하게 투자를 했으면 수익을 보던지, 손실을 입던지, 아니면 원금만 가져가던지, 그건 투자자의 몫이라는 논리이다. 그렇기 때문에 외국인 투자자들은 미국 투자이민 EB5 프로그램을 고를 때 상당히 주의해서 골라야 한다. 우선 부동산 관련 미국 투자이민 EB5의 경우 호텔을 짓거나 상가 또는 리조트를 짓거나 건설하는 주체, 즉 건설회사를 체크하여야 한다. 건설회사를 체크한다는 의미는 그 건설회사가 얼마나 많은 건물을 완공하였고 또 성황리에 분양하였는지에 대한 조사가 필요하다. 실제로 맨해튼 같은 땅값이 비싼 지역의 경우 미국 내에서 상당히 저명한 건설 회사들이 건물을 짓고 있고 또 분.. 2023. 12. 18. 미국 취업이민을 신청하려면 미국 취업이민을 신청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하여 한번 살펴보자. 미국 취업이민은 고용주를 신청자가 직접 찾아서 신청하는 방법과 이주업체 또는 HR 업체에 의뢰하는 방법이 있다. 신청자가 고용주를 직접 찾아서 할 때는 영어가 능통하다면 미국인 고용주와 직접 연락하여 진행이 가능하다. 하지만 영어가 능통하지 않을 경우에 미국 현지의 지인들의 소개를 통하여 스몰 비즈니스 사업체에 취업을 의뢰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그런데 이렇게 현지 지인들을 통하여 취업이민을 진행하다가 사업체가 폐업을 하거나 매매를 하여 이민 수속 진행이 중단되는 일이 종종 있다. 그리고 스몰 비즈니스 사업체에서 외국인들을 위하여 취업이민 스폰서를 선다는 것은 그리 쉬운 일이 아니다. 왜냐하면 외국인을 고용하려면 튼튼한 재정 상황.. 2023. 12. 18. 미국 학생비자 거절 후 승인된 케이스 미국 학생비자 거절 후 승인된 케이스에 대하여 한번 살펴보자. 미국에서 공부를 하려면 학생비자를 받아야 한다. 즉, 미국 단과대학이나 종합대학, 사립 고등학교와 같은 허가된 학교나 인가받은 영어 프로그램을 다니기 위해 미국 유학을 희망하는 경우 학생비자를 받아 입국해야 한다. 또, 학업이 주 당 18시간 이상의 수업을 듣는 경우에도 역시 학생비자가 필요하다. 그런데 이러한 사실을 잘 알지 못하고 편리함 때문인지 무비자인 이스타로 미국에 입국해서 주당 18시간 이상의 영어 프로그램 수업을 듣는 학생들이 더러 있다. 이런 학생들의 경우 부모님과 함께 동반하여 미국에 입국한 후, 그냥 수업을 들어도 괜찮다는 현지 지인들의 얘기만 듣고 비자는 생각하지도 못하고 수업을 듣는 학생들이 대부분이다. 하루 4시간씩 월.. 2023. 12. 12. 이전 1 ··· 6 7 8 9 10 11 12 ··· 3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