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73

형제자매 미국 초청 이민은 기간이 얼마나 걸리고 자녀 동반이 가능한지 미국 초청 이민은 시민권자 또는 영주권자가 한국의 가족을 초청하는 형식으로 영주권 신청이 가능하다. 특히 미국 시민권자의 형제자매인 경우는 초청이 가능하지만 영주권자인 경우는 초청이 불가능하다. 즉, 미국 시민권자의 형제자매인 경우는 결혼의 유무 그리고 나이에 상관없이 영주권 산청이 가능하다. 그리고 이러한 형제자매 초청의 경우 현재 이민 청원서 접수부터 영주권을 취득하는 데까지 걸리는 기간은 대략 14년 정도가 소요되고 있다. 이처럼 형제자매 가족 초청은 영주권 취득 시까지 상당한 기간이 걸린다. 그런데 만일 초청을 받은 형제자매가 기혼자라서 자녀가 있다면 약간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녀의 나이가 10살인데 형제자매 초청으로 영주권을 신청하였다면 현재 기준으로 보면 자녀의 나이가 24세.. 2021. 7. 2.
미국 영주권자의 배우자 초청이민 미국 영주권자의 배우자 초청을 진행하려 하는 경우 혼인 신고를 한국에서 해야 할지 아니면 미국에서 해야 할지 궁금해하시는 분들이 많다. 이런 경우 혼인 신고를 어디서 하든 상관은 없지만, 혼인 신고는 두 사람이 함께 거주했던 장소, 그리고 실제 결혼식이 치러진 장소에서 하는 것이 좋다. 왜냐하면 실제 결혼식을 치르지 않았거나, 두 사람이 함께 거주했던 장소가 없었던 경우에는 진실된 결혼이라고 인정되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만일 한국에서 혼인신고를 하는 경우에는 미국 이민국에 초청 이민 청원(I-130)을 접수하면 된다. 즉, 초청 이민 청원서는 서로 떨어져 있어도 접수가 가능하다. 다만 한국에서 혼인 신고 후 초청 이민 청원서를 승인받아 주한 미국 대사관에서 인터뷰를 할 때에는 미국에 체류 중인 영.. 2021. 7. 1.
미국 시민권자의 기혼자녀 초청 시 피초청자인의 동반자녀 영주권 취득 미국 시민권자와 영주권자는 가족들을 미국으로 초청하는 영주권 신청 절차를 진행할 수가 있다. 단, 미국 시민권자와 영주권자는 각각 초청할 수 있는 대상에 차이가 있다. 부모 중 한 명이 미국 시민권자인 경우에는 가족 초청 이민 1순위에 해당하여, 만 21세 이상의 미혼 자녀를 미국으로 초청 가능하며, 기혼자녀의 경우 3순위에 해당하여 초청할 수가 있다. 반면, 부모 중 한 명이 미국 영주권자인 경우에는 가족 초청 이민 2순위에 의해 미혼 자녀만을 미국으로 초청할 수가 있다. 즉, 영주권자는 기혼 자녀를 초청할 수가 없다. 현재 이러한 시민권자의 기혼자녀 초청 영주권 문호는 다음과 같다. 대상자 영주권 문호(2021년 7월 기준) 시민권자의 기혼 자녀 2008년 11월 1일 현재 이와 같은 시민권자인 부모.. 2021. 7. 1.
미국 영주권의 가치를 금전으로 환산하면 미국 영주권의 가치를 금전으로 환산하면 그 값어치는 얼마나 될까. 미국 영주권을 취득하는 방법에는 초청, 취업 투자 등 여러 가지 방법이 있지만 결코 쉬운 일은 아니다. 초청 이민의 경우 10여 년을 넘게 기다리는 사람도 있고, 미국 내 고용주를 찾아 취업을 통하는 경우도 있고, 투자이민을 통하여 미화 90만 불을 투자하는 사람도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한해 전 세계에서 대략 120만 명이 영주권을 취득하고 있지만, 최소 1~2년 이상 오랜 기간을 기다려야 한다. 그렇다면 이렇게 많은 노력과 기다림과 비용을 투자하여 취득한 미국 영주권은 얼마만큼의 가치가 있을까. 우선 미국 영주권을 취득하면 초청을 통하여 한국의 가족을 초청할 수도 있고, 자녀들은 무료 공립 교육 혜택을 받을 수 있으며, 나이가 들어서는.. 2021. 6. 29.
미국 투자비자(E2)의 이해 미국 투자이민을 간다라고 얘기했을 때 흔히들 미국 투자이민 비자인 EB5와 미국 투자 비자인 E2를 혼동하는 분들이 많다. 미국 투자비자(E2)는 영주권을 취득하는 이민 비자가 아니라 비이민 비자이다. E2비자는 식당, 세탁소, 식료품 같은 스몰 비즈니스를 미국에서 운영하기 위하여 체류 신분을 취득하는 것으로 많은 한국인들이 현재 미국에 이와 같은 E2비자로 체류하고 있다. 이러한 E2비자는 영주권은 아니지만 영주권과 비슷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배우자가 워크퍼밋을 승인받아 합법적으로 일을 할 수 있고, 자녀들은 무료로 공립교육을 받을 수 있다. 이러한 E2비자는 다음과 같은 자격요건 하에 발급이 가능하다. - 미국과 투자비자(E2) 발급에 관한 협약이 맺어진 국가의 국민이어야 한다. - .. 2021. 6. 29.
미국 주재원 비자(L1)의 이해 미국 주재원 비자하면 떠오르는 학창 시절의 추억이 있다. 학창 시절 미국에서 전학 온 친구가 있었다. 영어도 잘하고 어린 나이에 미국 체류 경험도 쌓았고 그 당시에는 그 친구가 상당히 부러웠던 기억이 난다. 그 친구는 아버지를 따라 미국에서 학교를 다니다 한국으로 왔는데, 그 친구의 아버지가 상사 주재원으로 미국에서 근무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이처럼 미국 주재원 비자(L1)는 국내 회사가 미국에 지사 또는 자회사 같은 회사를 설립하고 현지로 파견 나갈 때 요긴하게 쓰이는 미국 비이민 비자이다. 이러한 주재원 비자를 발급받으려면 미국의 회사는 한국에서 지분 50% 이상을 투자한 회사이어야 한다. 이렇게 지분 50% 이상이 투자된 미국의 회사에 간부 또는 전문 기술을 소유한 직원으로 파견될 때 주재원 비자.. 2021. 6. 28.
미국 투자 이민 시 가장 고려해야 할 사항, 투자 자금의 출처 미국 투자이민(EB5) 신청 시 많은 분들이 간과하고 있는 부분이 바로 투자자금의 출처이다. 대부분의 투자자분들이 미국 투자이민은 학력, 경력, 영어 능력 등 만 18세 이상이면 별도의 자격 요건을 요구하지 않기 때문에 돈만 많으면 신청 가능하고 또 쉽게 영주권을 취득할 수 있는 것으로 잘못 알고 있다. 하지만 미국 투자이민(EB5) 은 투자 자금의 출처를 상당히 자세히 들여다본다. 왜냐하면 미국으로 유입되는 투자자금은 마약을 판매한 자금 또는 테러를 지원한 자금 등 불법적인 자금의 경우 원천적으로 투자를 봉쇄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미국 투자이민(EB5) 신청자 분들 중에 투자 자금의 출처를 서류로 준비하는 것이 까다롭다는 의견도 많다. 이와 같은 미국 투자이민 투자금의 출처는 자금이 형성되기까지의.. 2021. 6. 28.
미국 무역 비자의 이해 미국 비이민 비자 중에 하나인 무역 비자(E1)는 미국과 상호 무역 및 투자에 관한 조약이 체결된 국가의 국민이 신청 가능한 비자이다. 물론 한국은 미국과 이러한 조약이 체결되어 있기 때문에 무역 비자(E1) 신청이 가능하다. 즉, 한국인의 경우 미국 내 설립된 회사(최소 50% 이상의 지분을 한국인 또는 한국 회사가 소유한 회사)에서 기술직으로 파견되든지 아니면 간부로 파견될 때 발급받을 수 있는 비이민 비자이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무역이라 함은 개인 또는 회사 간의 상품의 교역을 떠올리지만, 미국 무역 비자에서 뜻하는 무역은 상품의 교역뿐만이 아니라 서비스, 디자인, 기술, 광고, 관광, 금융, 법률 등 모든 용역이 포함된다. 이러한 무역 비자(E1)의 자격요건은 다음과 같다. 미국과 상당량의 무역(.. 2021. 6.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