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270 영주권 취득이 가능한 동반 자녀(Derivative Child)의 아동 신분 보호법 영주권 취득이 가능한 동반 자녀(Derivative Child)의 아동 신분 보호법에 관하여 알아보자. 십여 년 전만 하더라도 미국으로 이민을 가는 이유를 물어보면 '나와 가족을 위한 보다 나은 삶을 위하여'라는 교과서 같은 문구가 자주 회자되었다. 사실 미국 이민을 결심하는 50% 이상의 분들이 자녀에게 보다 좋은 교육 환경과 생활환경을 주기 위해서 영주권을 신청하는 것이라고 한다. 하지만 이전 트럼프 행정부의 반 이민 정책으로 인해 미국 영주권 취득 기간이 상당히 길어졌다. 이처럼 영주권 취득 기간이 길어지자 자녀의 무료 공립학교 교육 혜택은 고사하고 동반으로 영주권 취득까지 어렵게 되지 않을까 고민하시는 분들이 꽤 생겨나기 시작했다. 이에 관한 영주권 신청자의 동반 자녀를 위한 '아동 신분 보호법'.. 2023. 9. 4. 미국 주재원비자(L-1) 신청 시 주의사항 미국 주재원비자(L-1) 신청 시 주의사항에 대하여 한번 살펴보자. 주재원비자는 미국의 입장에서 볼 때 해외에 있는 글로벌 기업에서 미국 내의 관계 회사에 직원을 파견할 때 발급받는 비자이다. 즉, 글로벌 기업과 미국 회사의 관계는 자회사, 모회사 그리고 계열사 등의 관계가 형성되어 있어야 한다. 쉽게 예를 들면 우리나라 대기업이 미국에 자회사를 설립했을 때, 한국의 직원을 미국 자회사로 파견하기 위하여 비자를 신청하는 경우이다. 이때 파견되는 직원의 기본적인 요건은 한국 회사인 모회사에서 최근 3년 중 1년 이상을 근무했어야 하고, 미국 내 회사가 필요로 하는 기술 또는 지식을 소유했거나, 해당 기업의 간부 또는 관리자여야 한다. 그런데 주재원비자 신청 절차 중 중요한 것이 있다. 바로 청원서(I-12.. 2023. 9. 1. 미국 관광비자가 이민법 (INA)의 221(g) 조항에 근거하여 거절된 경우 미국 관광비자 신청 시, 이민법 (INA)의 221(g) 조항에 근거하여 거절된 경우를 한번 알아보자. 한국인의 경우 ESTA, 즉 무비자로 미국 입국이 가능하기 때문에 예전보다는 관광비자 신청이 줄어들었지만, 그래도 개인 사정에 의해 관광비자를 신청하시는 분들이 있다. 그런데, 관광비자를 신청하여 인터뷰 후, 이민법 (INA)의 221(g) 조항에 근거하여 거절이라는 레터를 받았을 때 많은 비자 신청자들은 두려워하고 낙담하게 된다. 그렇다면 이민법 (INA)의 221(g) 조항에 근거하여 거절이라는 내용은 무엇을 의미할까. 사실 이민법 (INA)의 221(g) 조항에 근거한 거절 레터는 정확히 비자 거절이라고 표현하기에는 애매모호하다. 왜냐하면 이 레터가 의미하는 바는 비자 거절이라고 보기보다는 최종 .. 2023. 8. 29. 특기자(O-1) 비자 특기자 비자(O-1)에 대하여 한번 살펴보자. 특기자 비자(O-1)는 과학, 예술, 교육, 사업 또는 운동 분야에서 뛰어난 능력을 보유하고 있거나, 영화나 텔레비전 산업에서 비범한 성과를 입증하고 있으며 국가적으로 인정받은 외국인에게 발급하는 비이민 비자이다. 이러한 특기자 비자(O-1)에는 다음과 같은 유형이 있다. ▶ O-1A: 과학, 교육, 비즈니스 또는 운동 분야에서 뛰어난 능력을 가진 개인(예술, 영화 또는 TV 산업 제외) ▶ O-1B: 예술에 뛰어난 능력을 가지고 있거나 영화나 텔레비전 산업에서 특별한 성과를 거둔 사람들. ▶ O-2: 이벤트나 공연을 돕기 위해 'O-1'비자 소지자와 함께하는 경우. ▶ O-3: O-1과 O-2 비자 소지자의 배우자 또는 자녀. 그렇다면, 특기자 비자(O-1.. 2023. 8. 29. 미국 초청이민 신청 시 extreme hardship 이란? 미국에서 시민권자 또는 영주권자인 가족이 한국의 이민 비자 신청자를 초청하여 영주권을 수속하기까지는 카테고리에 따라 상당히 오랜 기간을 기다려야 할 수도 있다. 이렇게 상당히 오랜 기간을 기다렸는데도 불구하고 주한 미 대사관 인터뷰에서 이민 비자 신청자의 미국 내 오버 스테이 경력 때문에 한 번에 이민 비자가 거절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이처럼 이민 비자 신청자가 예전에 미국에 적합한 비 이민 비자를 가지고 합법적으로 입국했지만, 유효한 체류기한을 넘기면 오버 스테이, 즉 불법 체류 기록 때문에 미국 이민 비자가 거절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경우, 케이스에 따라 미 대사관 영사의 권고로 웨이버를 신청할 수도 있다. 참고로 미 이민법 규정에 의하면 오버 스테이 기간이 6개월 이상 1년 미만인 경우는 출국.. 2023. 8. 28. ESTA 신청 시 음주운전으로 벌금 낸 경력이 있다면 ESTA로 미국 무비자 입국을 신청하려는데 과거 음주운전 경력으로 벌금 낸 경력이 있는 상황을 한번 알아보자. 먼저 우리나라의 음주운전 처벌 기준은 근래 상당히 강화되었다. 사람마다 알코올 분해력이 다르지만, 알코올 분해력이 약한 사람은 소주 1잔만 마셔도 혈중 알코올 농도가 0.03% 이상이 나와 벌금형 이상의 처벌 대상이 될 수도 있다. 물론 음주운전을 안 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인데, 만일 이미 이와 같은 벌금형을 받은 상태에서 ESTA 신청은 어떻게 될까? 음주운전으로 벌금형 이상을 받았다면, ESTA 신청할 때 범죄 여부를 묻는 질문에 "예"라고 답하여야 한다. 물론 이렇게 하면 ESTA가 거절될 확률은 높다. 하지만, 이러한 기록이 있는데도 "아니요"라고 답을 한다면..., ESTA가 승인될.. 2023. 8. 28. 관광비자로 미국 입국 시 주의사항 미국 관광 비자 입국 시 주의사항에 대하여 알아보자. 한국 여권 소지자는 ESTA로 간단하게 미국에 다녀올 수 있지만, ESTA 발급이 안 되는 분들 또는 3개월 이상 미국에 방문하여야 하는 분들은 미국 관광비자로 입국이 가능하다. 특히 어렵사리 관광비자를 취득하였는데, 입국 심사에서 거절을 받으면 그 참담함은 말로 표현할 수 없을 것이다. 실제로 몇 해 전에만 해도 한해 1,000명이 넘는 한인들이 미국 입국에서 사소한 문제로 거절을 당한 적이 있다. 모든 비자가 그렇듯 비자 발급 자체가 미국 입국을 보장하는 것은 아니다. 일단 미국에 도착하면 입국 심사를 받아야 하는데, 특히 관광비자의 경우 입국 심사 시 주의하여야 할 내용들이 많다. 미국 입국 심사의 기본은 발급된 비자와 입국 목적의 일치이다. 즉.. 2023. 8. 25. 부모가 미국 학생비자 신청 시 자녀의 비자는? 부모님이 미국 학생비자 신청 시 자녀의 동반 비자에 대하여 알아보자. 한해 많은 학생들이 미국으로 조기유학을 떠난다. 그리고 어린 자녀들이 학생비자를 발급받아 미국에서 학업을 하는 동안 부모님들은 대부분 ESTA나 관광비자를 받아서 자녀를 돌보러 방문한다. 그런데 이렇게 ESTA나 관광비자로 자주 방문하다 보면 미국 입국 시 입국 심사대에서 곤란한 일을 겪게 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반면 캐나다의 경우, 자녀가 캐나다에서 유학하는 동안 부모에게도 동반 비자가 발급되기 때문에 충분히 함께 거주하면서 자녀를 돌볼 수 있다. 하지만 미국의 경우, 자녀가 조기유학을 한다고 하여 부모에게 발급되는 동반 비자가 없다. 꽤나 불편한 상황이다. 그러다 보니 ESTA로 90일, 아니면 관광비자로 6개월을 꽉꽉 채워서 다.. 2023. 8. 25. 이전 1 ··· 16 17 18 19 20 21 22 ··· 34 다음